🔋테슬라 모델 S 배터리 팩 분석 / BMS-U008 에러 분해편

테슬라 모델 S 배터리 팩 분석, 8,000셀 구성과 BMS-U008 에러 원인 진단

연구원 여러분,오늘은 조금 특별한 차량을 다뤄봤습니다. 입고된 차량은 2019년식 Tesla Model S.계기판에는 BMS u008 에러 가 표시되며 주행이 완전히 불가능한 상태였습니다. 이 에러는 BMS가 고전압 팩 내부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했을 때 발생합니다.정확히 어떤 모듈이 문제인지 알기 어려워서,팩 전체를 분해하며 내부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1. 차량 및 배터리 팩 기본정보 항목 내용 차량 Tesla Model … 더 읽기

🔥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전기화재일까? 금속화재일까?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 전기화재와 금속화재의 경계를 묻는 Sensloop Lab 연구 썸네일

Sensloop Lab – Research Log 안녕하세요, 연구원 여러분.오늘은 배터리 실험실에서 자주 듣게 되는 질문 하나로 이야기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전기화재(E급)인가요, 금속화재(D급)인가요?” 이 질문,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십니다.배터리 내부에 전류가 흐르니까 ‘전기화재’일 것 같고,리튬이 금속이니까 ‘금속화재’로 봐야 할 것 같기도 하죠.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둘 다 맞지 않습니다.이번 연구 로그에서는 이 화재가 왜 그렇게 … 더 읽기

🔋 배터리 용량, 전압으로 계산하면 왜 틀릴까? 전류적산법이 뭐야?

배터리 0%인데 왜 다시 켜질까 – Sensloop Lab 연구 썸네일

안녕하세요, Sensloop Lab 연구원 여러분 🔧오늘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배터리의 전압(V) 을 보고 “이 정도면 70%쯤 남았겠지?”라고 생각하죠.하지만 실제로는, 같은 3.8V에서도 어떤 배터리는 60%, 또 다른 배터리는 80%일 수 있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날까요?바로 전류적산법(Ampere-hour Integration) 이라는 원리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전압으로 계산하는 방식의 함정 … 더 읽기

🧠 초음파 센서 가까워질수록 색이 바뀐다 / 네오픽셀 LED 시각화 실험

아두이노 메가 보드와 JSN-SR04T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거리에 따라 색이 바뀌는 네오픽셀 LED 링 실험 장면. 가까워질수록 LED 색상이 빨강으로 변하며 경고를 표시하는 아두이노 시각화 프로젝트.

(Sensloop Lab Research Log / Part.2) 연구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지난 시간에 진행했던 「JSN-SR04T 초음파 센서, 정말 정확할까?」 실험의 연장선에 있습니다.그때 우리는 초음파 센서가 실제로 어느 정도의 거리 정확도를 가지는지,20cm부터 50cm까지 구간별 데이터를 직접 측정하며 확인했습니다. 센서의 신뢰성을 검증했다면,이번에는 그 데이터를 ‘눈으로 보이게’ 표현해보는 단계입니다.바로, 거리에 따라 LED 색상이 바뀌는 시각화 실험이죠.센서가 감지한 숫자 … 더 읽기

🔋 리튬이온 배터리 과방전 / 내부 발열과 셀 붕괴가 시작되는 순간

리튬이온 배터리 과방전 시 내부 발열과 셀 붕괴가 일어나는 과정을 다루는 Sensloop Lab 연구로그의 대표 이미지로, 배터리팩이 바닥에 배열된 모습이 배경에 보인다.

(Sensloop Lab Research Log) 연구원 여러분,오늘은 리튬이온 배터리 과방전(Overdischarge), 그중에서도 고방전율 조건에서의 내부 반응을 살펴보려 합니다. 🧩 1. 서론 “0%” 그 이후에도 셀은 조용하지 않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완전 방전”은 사실 정지점이 아닙니다.셀 내부에서는 여전히 이온 불균형과 전해액의 불안정, 미세한 발열이 이어집니다. 특히 정격 전류를 초과한 고방전율 과방전에서는셀 자체가 작은 발열 시스템처럼 변합니다.내부 화학 반응이 … 더 읽기

초음파 센서, 정말 정확할까? JSN-SR04T 아두이노 실측 데이터

아두이노 메가와 JSN-SR04T 초음파 센서를 연결해 거리 측정 정확도를 검증한 Sensloop Lab의 데이터 실측 포스트 썸네일 이미지

연구원 여러분, 안녕하세요.이번 실험에서는 JSN-SR04T 초음파 센서가 실제로 어느 정도의 거리 정확도를 보이는지 직접 측정해보았습니다. JSN-SR04T는 방수형 초음파 센서로, 일반적인 HC-SR04보다 내구성과 측정 안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실험 환경이나 반사체 조건에 따라 오차가 생긴다는 이야기도 많죠. 그래서 Sensloop Lab에서는 실제로 아두이노 메가(Mega 2560) 보드에 연결하고,20cm부터 50cm까지 구간별로 직접 실측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 실험 구성 이번 … 더 읽기

🔋 샤오미 즈바이 퓨어소닉 무선청소기 배터리 수리기 (GE-S150)

“청소기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 배터리를 점검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샤오미 퓨어소닉 무선청소기 배터리 수리 장면을 보여주는 Sensloop Lab 썸네일 이미지”

연구원 여러분, 오늘은 생활필수품이 되어버린 무선청소기,그중에서도 샤오미 즈바이 퓨어소닉 모델의 배터리를 직접 수리해봤습니다. 전원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다는 증상으로 입고된 제품인데요,과연 어떤 원인이 있었을지 함께 살펴보시죠. 🎥 불량 영상 (전원 미 동작) 버튼을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LED도 점등되지 않고, 모터도 돌지 않죠.처음엔 단순 회로 문제로 보였지만, 실제 원인은 배터리팩 내부에 있었습니다. 🧩 1. 입고 및 초기 … 더 읽기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Thermal Runaway) / 화재의 메커니즘과 원인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배터리 열폭주 실험 장면. 내부 온도 상승과 화재 발생의 시작점을 보여주는 이미지.

💡 연구 개요 연구원 여러분, 오늘은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출발점이자모든 전기차·ESS 화재의 핵심 메커니즘인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겉으로는 단순한 ‘폭발’로 보이지만,그 내부에서는 수초 만에 화학적 연쇄 반응이 폭발적으로 진행됩니다.이 글에서는 그 반응의 순서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1. 열폭주란 무엇인가? “배터리 내부의 온도 상승 속도가, 배출되는 열보다 빠른 상태”이것이 바로 열폭주입니다. … 더 읽기

WS2812B RGB 링 LED 실험 – 아두이노로 컬러 조명을 제어해보자

아두이노 우노 보드와 WS2812B RGB 링 LED가 연결되어 청록색으로 점등된 실험 장면. 빛을 코드로 제어하는 아두이노 컬러 조명 실험 썸네일 이미지.

💡 실험 소개 지난 글에서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활용해 내장 LED를 깜빡이는 가장 기초적인 실습을 진행했습니다.이번에는 그 연장선으로, 컬러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WS2812B RGB LED 링을 활용해좀 더 시각적이고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보는 실험을 준비했습니다. 별도의 회로나 복잡한 연결 없이 핀 3개만으로도 실험이 가능하므로,처음 시작하는 연구원분들도 부담 없이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실습은 단순한 … 더 읽기

🔋 보쉬 36V 배터리 수리/ 20R 고방전 셀로 교체 후 완벽 복원

셀 교체 후 출력 반응이 개선된 보쉬 36V 배터리 복원 실험 — Sensloop Lab Repair Log

안녕하세요, Sensloop Lab 연구원 여러분 오늘은 보쉬 36V 배터리를 수리 해보려고 합니다.지난번 30Q 셀로 수리했던 전동공구 배터리 기억하시죠?그때 카페 댓글로 “30Q는 고방전용이 아니라 공구에는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요.그래서 이번엔 실제로 20R 고방전 셀로 교체해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 1. 증상 확인 입고된 배터리는 보쉬 36V (최대 40V 충전) 모델이었습니다.겉보기에는 멀쩡했지만, 잔량 게이지가 두 칸까지만 올라오고,함마드릴을 작동시키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