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쉬 18V 가짜 배터리 분석 – 호환팩 내부 구조와 복원 과정

⚠️ 실험 안내 (Safety Notice)

이 글에는 리튬이온 셀·배터리팩·전자부품을 활용한 실험 과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록은 Sensloop Lab의 통제된 환경에서 수행된 내용입니다.

안전한 실험을 위해 다음을 권장드립니다:

  • 절연 장비와 보호장구(장갑·보안경 등)를 착용하세요.
  • 작업 전 전압 확인과 절연 처리를 진행하세요.
  • 고전압 배터리팩 실험은 숙련자가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Sensloop Lab 연구원 여러분. 🔋
오늘은 “보쉬 18V 배터리” 라벨이 붙은 팩이 입고되었습니다.
표기상으로는 6.0Ah, 정품과 동일한 용량을 자랑하지만 —
이 배터리, 정말 6Ah일까요? 아니면 가짜 배터리일까요?

보쉬 18V 6.0Ah 표기가 된 호환 배터리 외관 — Sensloop Lab 연구원 분석용 샘플

이번 실험에서는 이 호환팩을 완전히 분해·분석하여
내부 구조, 셀 용량, 복원 과정을 연구해보았습니다.


⚙️ 1. 외관 점검 – “6.0Ah” 라벨의 진실

처음 외관을 보면 정품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케이스를 열어본 순간, 연구실 안이 잠시 정적에 휩싸였습니다.

보쉬 18V 호환팩 내부 구조와 피복 손상 부위 근접 사진, 납땜 연결로 인한 발열 위험 존재
  • 피복이 벗겨져 내부 전선이 그대로 노출
셀 단자 납땜 불량으로 인한 손상 부위 근접 사진 — 열로 인한 피복 손상 및 납땜 과열 흔적
  • 셀 연결부는 스폿 용접이 아닌 납땜 연결

겉보기에는 6Ah지만, 내부 구조는 위험 수준이었습니다.
저가형 호환팩이 왜 가격이 싼지, 그 이유가 명확하게 드러났죠.

분해된 보쉬 18V 호환 배터리 내부 구조 — 18650 셀 배열과 회로 기판 구성 확인

🔋 2. 셀 확인 – “6Ah” 표기, 실제 용량은 1.5Ah

셀 표면의 모델명을 확인한 결과,
각 셀의 정격 용량은 1,500mAh (1.5Ah).
즉, 6Ah라고 표기되어 있었지만
병렬 구성 기준으로 실제 총 용량은 약 3.0Ah 수준에 불과했습니다.(정품 대비 약 50% 수준)

CJ 18650-1500 mAh 셀 사용 — 표기된 6.0 Ah 용량과 실제 셀 스펙 불일치로 가짜 배터리 판정 근거 확보

이는 표기 대비 절반 이하의 용량입니다.
결국 이 배터리는 용량이 뻥튀기된 ‘가짜 6Ah’ 팩이었던 셈이죠.

💬 “6Ah”라는 숫자는 실제 용량이 아닌, 마케팅용 라벨에 가까웠습니다.


🧰 3. 내부 복원 – “납땜 구조를 정품 셀로 교체”

Sensloop Lab은 점검과 동시에 복원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아래 절차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교체용 삼성 30Q 셀의 전압(4.18 V)과 내부저항(14 mΩ)을 측정하는 장면 — 복원 전 성능 기준 확인 과정
  • 정품 셀 전압 밸런싱 및 내부저항 측정 → 전압 편차 ±0.01V, 내부저항 14~16mΩ 범위 내로 정렬
손상된 음극선 재납땜을 준비하는 과정 — 보쉬 호환 배터리 복원 작업 초기 단계
  • 스폿 용접으로 재구성 (3방 용접) → 납땜 구조 완전 제거
내부 점검 및 배선 정비 후 재조립된 보쉬 호환 배터리 팩 — 복원 완료 상태
  • 수축튜브 절연 보강 및 전선 재정비 → 노출 부위 절연 이중화
복원 완료 후 전원 표시등 점등 테스트 — 녹색 LED 4단 점등으로 정상 출력 확인
  • BMS 점검 및 게이지 확인 → 잔량 표시 정상 작동 확인
복원된 보쉬 호환 배터리 팩의 단자 전압을 멀티미터로 측정 — 출력 전압 20.8 V 확인

복원 후 테스트에서는 출력 전압 20.8V / 내부저항 안정화 완료.
이제 외관만 호환품이지, 내부는 완전한 정품 수준으로 복원되었습니다.


🧩 4. 점검 결과 요약

📊 결론:
이번 실험에서 확인된 보쉬 18V 호환팩은 표기 용량(6Ah) 대비 실제 용량이 절반 수준이었으며, 납땜 구조로 인해 발열 위험이 존재했습니다.
복원 후 Samsung 30Q 셀 기준으로 전압 20.8V, 내부저항 14~16mΩ로 안정화되었고, 절연 및 접점 구조를 정품 수준으로 개선했습니다.

구분수리 전수리 후개선 내용
표기 용량6.0 Ah (표기)6.0 Ah (정품 기준)허위 표기 →
정품 기준 복원
실제 셀 용량1.5 Ah × 2 병렬
(≈ 3.0 Ah)
2.95 Ah × 2 병렬
(≈ 6.0 Ah)
+100% 용량 향상
셀 모델CJ 18650-1500Samsung
INR18650-30Q
정품 고출력 셀로 교체
전압출력 불량 (0V 차단)20.8V 정상전압 안정화
내부저항불균일14~16 mΩ 균일전류 흐름 안정화
배선 및 접점납땜 연결 / 절연 불량스폿 용접 3점 /
절연 보강
안전성 대폭 향상

🧠 5. 연구원의 코멘트

Sensloop Lab은 이런 사례를 통해 소비자가 스스로 배터리의 진위를 구별하고,
보다 안전한 에너지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실제 제품을 기반으로,
‘표기와 실제가 다른 배터리’의 구조적 문제를 꾸준히 연구해 나가겠습니다.”

“호환 배터리라고 해서 모두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셀 용량을 속이거나 납땜으로 연결한 구조
단순 수명 문제가 아니라 화재 위험까지 유발할 수 있는 결함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수리 로그

👉밀워키 M18 배터리팩 복원기

👉정품 보쉬 18V 배터리인데..부식이?..

댓글 남기기